• 아시아투데이 로고
내년 건설수주 6년 내 최저치 전망 “SOC예산 늘려야”

내년 건설수주 6년 내 최저치 전망 “SOC예산 늘려야”

기사승인 2019. 11. 05. 14:29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20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 개최
2020년 건설수주 6% 감소, 건설투자 2.5% 감소
내년도 부동산, 매매가전세가 하락 전망
수도권-지방 격차 더 벌여져 "정책 긴요"
건설수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5일 내년 국내 건설수주가 최근 6년 동안의 최저치를 기록하고 건설투자도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내년도 예산안에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을 증액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동산시장과 관련해서도 전국 매매가와 전세가의 하락을 예상했다.

건산연은 이날 ‘2020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를 열고 “2020년 국내 건설수주는 전년 대비 6.0% 감소해 6년 내 최저치인 140조원을 기록하고, 건설투자는 2.5% 감소할 것”으로 밝혔다.

부동산시장에 대해서는 “전국 매매가격은 0.8% 하락하고 전세가격은 1.0%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이홍일 연구위원은 건설시장과 관련해 “2020년 건설투자 감소로 2020년 국내 경제성장률이 0.36%p 하락하고, 취업자 수가 7.2만명 감소하는 등 거시경제와 고용에 대한 건설경기의 부정적 영향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2017년에 시작된 건설수주의 감소세가 2020년까지 4년 연속 지속될 전망”이라며 “2020년 수주액 전망치 140조원은 2014년 107.5조원 이후 6년 내 최저치”라고 밝혔다. 이어 “2020년 수주감소 원인은 공공 수주가 생활 SOC, 도시재생사업, 국가균형발전프로젝트 등의 영향으로 증가하지만, 민간 수주가 주택을 중심으로 큰 폭의 감소세를 보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 연구위원은 건설경기의 악화가 고용 악화로 이어지는 경제 구조를 지적하며 국회를 향해 내년도 예산안에 SOC예산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에는 수정예산 편성 등의 절차를 거쳐, 당초 정부의 SOC 예산안보다 3조6000억원이나 증액해 국회에서 의결했다”며 “연말 국회에서 SOC 예산을 2019년 증액 규모(1조3000억원) 이상으로 증액 의결해 국가균형발전사업 등을 조속히 추진하는 것이 국내 경제의 저성장 고착화를 탈피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수도권지방격차
제공=건산연
◇부동산 매매가·전세가 하락 전망 “수도권-지방 격차 줄이는 정책 긴요”
건산연은 또 내년도 부동산시장은 매매가격의 경우 2020년 수도권 0.3%, 지방 1.2%, 전국 0.8% 하락을 전망했다. 특히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가 심해지고 있어 이를 완화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고 동시에 건설사들은 새로운 사업모델도 적극 구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성환 부연구위원은 세계 각국의 금리정책이 완화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내년은 거시경제 상황이 주택시장의 향방을 좌우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악화되는 거시경제 상황이 주택시장에 영향을 미쳐 주택시장 상황이 쉽게 개선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다만 저금리시대 안전자산 선호 기조가 강해 매매가격 하락폭은 올해보다 둔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방 시장의 경우, 거래 악화로 미분양 주택이 누적된 상황이다. 주택 구입 수요가 폭발적으로 발생하기는 어렵겠지만 수요보다는 공급이 더 빠르게 줄면서 재고를 소진해 올해보다 소폭 나아진 수준에서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내년 준공 물량이 올해보다 더 줄어들면서 누적된 재고를 소진해 시장 변동성과 하락폭을 줄여나갈 것”이라며 “하지만 지방 시장의 하락폭이 줄어드는 것이 시장의 기초체력이 좋아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지방 시장, 특히 미분양 관리지역에 대한 정부의 전향적인 정책 기조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전세 시장은 매매가 하락 및 3기 신도시 청약 대기 수요 유입으로 인해 올해보다 하락폭이 다소 둔화된 1.0% 하락을 예상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수도권은 3기 신도시 대기 수요가 전세시장으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지방은 가격 상승의 기대감이 사라지면서 매매수요가 전세수요로 전환하는 현상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2020년은 거시경제와 주택시장이 치열한 눈치싸움을 벌이는 한 해가 될 것”이라며 “더욱 심각해질 수도권과 지방의 차별화를 대비하기 위한 정책 방안이 긴요함과 동시에 기업들은 기존 분양형 모델 이외에도 새로운 사업모델을 적극 구상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