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도정은 올해 새로운 감귤 품질 기준을 만들고 구조혁신 5개년 계획을 발표하는 등 야심찬 감귤정책을 추진했다. 하지만 비상품 감귤 유통은 여전하고 궂은 날씨로 저급품 감귤까지 늘면서 감귤 특별재해지역을 선포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제주CBS가 선정한 2015년 10대 뉴스 일곱 번째 순서로 ‘새로운 감귤 정책에도 폭락하는 감귤 가격‘을 짚어 본다. [편집자주]
원희룡 도정의 감귤 정책 발표이후에도 가격이 하락하자 농심이 흔들리고 있다.<자료사진>
지난 5월 14일 원희룡 제주지사는 기자회견을 갖고 감귤을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도약시키기 위한 '고품질감귤 안정생산을 위한 구조혁신 방침' 5개년 과제를 발표했다.
세부 계획으로 감귤의 당도를 높이는 고품질 생산기반 구축을 위해 표준과원 조성 의무화, 불량감귤원 정비명령제 도입, 성목이식사업 확대, 품종갱신, 수령 50년 이상 감귤원 재입식, 부적지 감귤원 폐원, 작목.작형 전환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원 지사는 "올해부터 가공용 감귤 수매시 kg당 50원 보전하던 제도를 없애고 그 재원을 고품질감귤 생산에 투자하겠다"고 과감한 정책 변화를 예고했다.
이어 8월 3일 제주도는 감귤 구조혁신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가공용 감귤 수매가 보전 정책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감귤 생산실명제 도입이 주요 내용이다.
2017년까지 등록을 하지 않은 선과장은 운영을 금지한다는 계획도 포함됐다.
이렇게 과감하게 출발한 원희룡 도정의 감귤 고품질 생산 정책은 출하초기부터 비상품 감귤이 잇따라 적발되면서 흔들리기 시작했다.
감귤 유통조례를 개정하면서 고품질 감귤을 강조했지만 서울 가락동 농수산물 경매 첫날부터 비상품 감귤이 상장되면서 경매가 중단되자 제주도가 사과했다.
제주도는 비상품 감귤 단속을 대대적으로 펼치며 고품질 감귤 유통에 나섰지만 경매 시장의 반응은 싸늘했다.
비상품 감귤 유통에는 감협 소속 선과장도 나타나는 등 비상품 감귤 유통이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었다.
결국 노지 감귤 경매가격은 크게 하락했다. 지난 10월 29일 노지 감귤 경매가격이 10kg 기준 1만 원대 하락했다.
제주도는 긴급 '감귤작목반 반상회'도 개최했다.
지난 8월 감귤 구조혁신 5개년 계획이 발표됐다.<자료사진>
11월 2일 오후 6시 농감협 선과장 177곳(제주시 64, 서귀포시 113곳)을 대상으로 긴급 감귤작목반 반상회를 개최하고 고품질 감귤 생산과 유통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또 12월 1일을 감귤의 날로 제정하고 대대적인 판촉 활동도 펼쳤다.
하지만 이번에는 날씨가 도와주지 않았다.
장마와 같은 비날씨가 계속되면서 저급품 감귤 생산이 이어지면서 감귤 가격이 하락세가 이어졌다. 12월 들어서는 10kg 한 상자에 8천 원대까지 폭락하기도 했다.
특히 저급품 감귤 생산이 대폭 늘어나면서 대책 마련이 시급했다.
제주도는 결국 예비비를 투입해 저급품 감귤 2만 톤을 긴급 시장격리에 들어갔다.